1,592 0 0 4 1 0 9년전 0

백서 노자 (도경 道 經)

우선 백서 갑본과 을본의 훼손상태를 보고 비교하였다. 전체적인 문장을 구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는 왕필본과 비교하여 왕필본의 잘못된 부분이나 오류를 수정하고자하였다. 백서와 왕필본은 어떤 경우에는 너무나 차이가 커서 2천년동안 노자를 잘못 이해했다라는 말도 가능하게 된다. 한 가지만 예를 들어본다. 백서본에는 故曰이라고 되어있는데 왕필본에는 故로 되어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故曰은 “그래서 ~~고 말한다”라는 의미이므로 이는 노자의 말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이다. 그러나 故로 되어있는 것은 “그러므로”라는 뜻이므로 결론으로 보아 그 이하의 말은 노자가 한 말이 되는 것이다. 즉 이렇게 노자가 하지 않은 말이 노자의 말인 것처럼 해석되면 그 괴리는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충격이 되는 것이다. 백서본..
우선 백서 갑본과 을본의 훼손상태를 보고 비교하였다. 전체적인 문장을 구성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는 왕필본과 비교하여 왕필본의 잘못된 부분이나 오류를 수정하고자하였다. 백서와 왕필본은 어떤 경우에는 너무나 차이가 커서 2천년동안 노자를 잘못 이해했다라는 말도 가능하게 된다. 한 가지만 예를 들어본다. 백서본에는 故曰이라고 되어있는데 왕필본에는 故로 되어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故曰은 “그래서 ~~고 말한다”라는 의미이므로 이는 노자의 말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이다. 그러나 故로 되어있는 것은 “그러므로”라는 뜻이므로 결론으로 보아 그 이하의 말은 노자가 한 말이 되는 것이다. 즉 이렇게 노자가 하지 않은 말이 노자의 말인 것처럼 해석되면 그 괴리는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충격이 되는 것이다.
백서본 노자와 왕필본 노자를 비교하면 새로운 의미가 많이 이해가 된다. 노자를 병법서나 권모술수를 강조하는 책이라고 비난하였던 성리학의 창시자 정 이천(정이)이 만약 오늘날에 태어나서 노자 백서를 본다면 그렇게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래서 단지 노자는 백서본과 왕필본을 비교해서 보아야 가장 균형있는 시각이 생기고 더 깊숙이 노자를 이해할 수 있다.

필자는 백서와 왕필본을 비교하면서 노자를 최초로 주석했다고 전해지는 한비자의 해로와 유로편의 주석을 많이 인용하였으며, 가능하면 장자가 노자의 말을 인용한 부분을 독자의 편의를 위해서 게기하였다. 왜냐하면, 노자 장자 신불해 한비자는 황로학파로서 하나의 맥으로 해석을 하는 것이 같은 황로학파인 사마천의 사기의 노장신한열전의 취지에 맞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국 필자는 사마천의 사기에 기재된 대로 노자를 장자 그리고 한비자를 중심으로 해석했다. 이것이 그래도 균형있는 해석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의 시도는 이제 시작이다. 혹시나 이 책을 읽는 독자가 더욱 생각하고 사색하여 노자를 그냥 노자라는 독립개념으로 이해하게 된다면, 필자로서 큰 영광으로 생각한다. 유한한 생명으로 영원한 지식을 추구한다는 시도자체가 어리석지만, 책을 발간하는 것은 큰 공부의 일환이다. 누구는 가르치는 것이 반은 배우는 것이라고 했지만, 나는 책을 쓰는 것은 전부 공부하는 것이고 연속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노자를 공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아마도 평생을 다바쳐도 어려울 것이다. 그러니 항상 시작이라는 마음으로 다시 주위를 둘러본다.
[이 책을 쓴 이유]

그러면 노자 도덕경이 지금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첫째는 물리적 현실과 자본주의적 탐욕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배울 수 있다는 점이다.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은 황제가 되어서 서산에 지는 해를 멈추라고 지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이야기지만 당시에는 황제의 명이었으니 시행을 해야 했다. 지금의 탐욕의 경제나 정치도 도를 넘어서고 있다. 물론 인간의 힘은 무한하지만 그렇다고 우주의 원리를 거스를 수는 없는 것이라는 것을 노자의 도덕경을 통해서 배울 수 있다.

둘째는 자애와 검약과 남 앞에 나서지 않은 것이라는 노자가 말하는 세 가지 보물의 현대적 의의이다. 우리 사회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자애로움과 검약이다. 사회비리가 탐욕에서 시작하고 명예를 추구하다가 발생한다. 지금 노자의 도덕경을 읽으면서 노자의 3가지 보물의 현대적 의의를 새겨 보아야 할 때이다.

셋째는 노자는 경쟁과 명예추구에 지친 현대인에게 힐링을 준다는 점에서 힐링의 철학이다. 명예를 추구하지 않고 부귀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현대인이 스트레스가 쌓일 일이 없게 된다. 모든 것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반드시 이겨야 인생의 승자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 않다는 것이 바로 노자의 결론이다.

최근 한국 사회는 높은 자살률로 대표되는 사회지도계층의 부재 현상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의 지도자로써 이 사회의 모범이 될 만한 사람들을 찾기가 점점 더 어려워진다. 그러는 동안 한국사회는 결혼연령은 늦어지고 출산은 줄어들고 자살도 많아지고 이혼도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삶의 질의 문제에 대해서 노자 도덕경은 우리에게 생각할 바를 주는 것이다.
김용일

저자는 서울대학교(76년학번)와 서울대 행정대학원(81학번)을 나와서 행정고등고시(24회)에 합격하였으며 이후 관세청 등에서 고위공무원으로 근무하였으며, 외환조사, 관세평가분야에서 대한민국 최고 전문가로 명성이 높다.

저자는 그간 “장자의 덫에 걸린 공자 구하기” 와 “주역의 본뜻, 주역본의상경해”, “한비자의 역린과 도법술세” 를 저술하였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시각으로 인문학분야에서 제자백가의 사상과 고전을 새롭게 조명하여, 계속 저서를 출판할 계획이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